누리호 4차 발사 성공…민간 주도 ‘K스페이스’ 본격 시동

시사1 장현순 기자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에 성공하며 국내 우주 산업이 민간 중심의 ‘뉴스페이스’로 전환하는 분기점을 맞았다. 정부 주도에서 민간 기업이 제작·운영을 주도하는 구조로의 변화가 궤도에 오르면서 우주항공 산업 전반의 산업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가 오전 1시13분 발사돼 약 18분 후 고도 600km 궤도에 진입,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를 목표 궤도에 정상 분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조립을 주도한 사실상 첫 민간 주도 사업으로 평가된다. 우주청은 “한국 우주 산업이 정부 연구 중심 단계를 넘어 민간 투자·기술 경쟁이 가능한 산업 생태계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발사 성공 소식이 전해지면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단 지속 가능한 우주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위성 수요 확대, 발사 빈도 증대, 가격 경쟁력 확보 등 후속 과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글로벌 발사체 시장에서 경쟁하려면 반복 발사 신뢰성과 민간 기업의 투자 여력 확대가 필수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발사 성공은 출발점”이라며 “한국형 발사서비스 산업이 자리 잡으려면 기술 고도화와 함께 시장성이 확보돼야 한다”고 했다.

 

정부는 누리호 고도화 사업과 차세대 발사체 개발, 위성산업 생태계 조성 등 장기 프로젝트를 가속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