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캐나다 장관의 HD현대 방문, K조선 기회로 이어가야

캐나다 산업부 장관이 25일 HD현대 글로벌R&D센터를 찾았다. 이는 단순한 기업 방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캐나다 해군의 차세대 잠수함 사업이라는 초대형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캐나다 고위 인사가 현장을 찾았다는 점은 K조선에 실질적인 기회로 직결될 가능성이 크다. 이를 고리로 HD현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상선 및 함정 건조 역량을 이미 입증했다. 연간 200척 이상의 상선 건조 능력, 106척의 함정 건조 실적, AI·디지털트윈 기반 첨단 기술력 등은 단순한 생산 능력을 넘어 미래 조선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정부와 산업계의 후속 대응이다. 캐나다 잠수함 사업은 최대 60조원 규모에 달하고, 캐나다 해군의 미래 전력 구상과 직결되는 전략적 사업이다. 이 대형 프로젝트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쥐기 위해선 조선·방산·AI·에너지 등 복합 산업을 아우르는 ‘산업 외교’가 긴밀히 작동해야 한다. 단순히 기업 차원의 경쟁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외교 지원, 제도적 협력 틀 마련, 기술·안보 협력체 구축 등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

 

캐나다 장관의 이번 방문은 신호탄일 뿐이다. 국내 조선업이 다시 한번 글로벌 시장에서 도약하는 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산업계·연구기관이 삼각 협력체계를 강화하며 후속 성과를 만들어내야 한다. K조선의 기술력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높아진 지금이야말로, 이를 실질적 수주와 산업 협력으로 이어낼 수 있는 골든타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