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멈춤 사고’ 논란 확산…與, ‘오세훈 졸속 행정’ 맹공

시사1 윤여진 기자 | 서울시의 핵심 교통 정책인 ‘한강버스 사업’이 최근 발생한 운항 중단 사고로 인해 안전불감증 및 졸속 추진 논란에 직면했다.

 

더불어민주당은 18일 브리핑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겨냥해 “시민 안전을 뒤로한 전시행정”이라며 맹비난했고, 이에 서울시는 정밀 조사를 약속하며 진화에 나섰다.

 

이번 논란은 최근 한강버스 대표가 사고 브리핑에서 밝힌 내용이 화근으로 작용했다. 한강버스 대표는 “운항 중 바닥에 무언가 터치되는 현상이 총 15건 보고됐으나 원인을 모른 채 운항을 강행했다”고 털어놨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중 13건이 사고 직전 열흘간 집중적으로 발생했음이 드러났다. 이를 고리로 여권에선 ‘사고 전조를 무시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박지혜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오세훈 시장이 말한 ‘냉정한 점검’이 사실은 ‘깜깜이 점검과 늑장 개선’이었나”라며 “시민 안전보다 중요한 것이 있었다는 자백과 다름없다”고 질타했다.

 

한강버스 측은 또 “갈수기인 11월 수심이 이렇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다”고 해명해 뒷말을 샀다. 이로써 계절별·기상별 운항 시뮬레이션 없이 사업을 강행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박지혜 대변인은 “제대로 된 시뮬레이션조차 없이 운행했는지 따지지 않을 수 없다”며 “국민 안전은 그 어떤 경우에도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일갈했다.

 

민주당은 이번 사태의 본질을 오세훈 시장의 야욕으로 규정하며 정치적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

 

잇따른 논란에 서울시는 급히 진화에 나섰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선박 및 한강 수심에 대한 정밀 조사에 착수했다”며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운항 재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