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 공대위 "생존권 위기. 임금인상-처우개선" 촉구

공무원보수위원회 회의 맞춰 결의대회

공무원 노동자들이 14일 공무원보수위원회가 열린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생존권 위기에 내몰렸다며 "공무원 노동자들의 임금인상 및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14일(월)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주변에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를 열었다.

 

집회 참가자들은 '공무원 임금 6.6% 인상', '공무원-교원 생존권 보장' 등의 손팻말을 들었고, 공무원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구호를 연신 외쳤다.

 

발언을 한 석현정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은 “공무원 노동자는 국민의 곁에서 삶을 지키고, 국가를 지탱하는 주축임에도 삶과 처우에 대해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며 “이런 사이에 공직사회에는 '공노비'라는 자조 섞인 한탄과 함께 누구보다도 빠르게 공직사회를 이탈하면 '위너'가 되는 게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예산 탓', '국민 정서 탓' 등 정부는 매년 앵무새처럼 외치지 말고, 공무원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며 “정부가 공무원의 생존권을 무시한다면, 공직사회의 이탈과 외면은 가속화될 것이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피해는 국민이 받는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고 밝혔다.

 

정순재 청도군노조 위원장은 "그동안 120만 공무원 노동자들은 고물가에 역행하는 임금 인상액으로 실질임금은 감소했고, 결국엔 생존권 위기에 내몰렸다“며 ”벼랑 끝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공무원 노동자의 손을 이젠 정부가 맞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공대위는 지난 6월 30일에도 공무원보수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 맞춰, 정부청사 앞에서 1차 간부결의대회를 진행한 바 있다.

 

공대위는 지난 6월 19일, 내년 공무원 임금 6.6% 인상, 정액급식비 월 3만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 5천원 인상, 초과근무수당 단가 기준호봉 월급액의 60% 적용, 정근수당 현행 지급률 대비 10% 인상, 명절휴가비 지급액 10% 인상 등의 요구사항을 공무원보수위원회에 전달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은 향후 국무회의에서 26년도 공무원 임금 인상액을 포함한 정부 예산안이 확정될 때까지 대통령실과 정부세종청사 등에서 소규모 릴레이 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8월은 다수의 조합원이 참여한 대규모 집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는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국민주우체국본부, 교육청노동조합연맹, 전국경찰직장협의회 등의 연대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