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의 무조건적 지방공무원 증원 제한 정책과 시교육청의 일방적인 교원 업무 경감 정책 속에 지방공무원들이 철저히 소외되고 있다. 근무환경과 처우가 더 이상 묵인 하기 어려운 지점까지 악화됐다. 이로 인해 학교 현장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다."
22일 오후 서울시교육청 노동자(지방공무원)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강조한 말이다.
서울시교육청노동조합(공동위원장, 오재형-이철웅)은 22일 오후 4시 서울시교육청 정문 앞에서 '학교 현장의 갈등 극복을 위한 학교행정지원센터 신설 및 확대'를 위한 기자회견을 했다.
노조는 "학교갈등 방관하는 서울시교육청은 각성하라"며 "폭증하는 행정업무에 대한 적정인력을 배치하라"고 강조했다.
오재형-이철웅 공동노조위원장이 낭독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최근 교욱부가 단지 학령인구가 감소한다는 단순하고 편향적 논리로, 학교 현장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소통 없이 지방공무원 증원을 무지성으로 제한하고 있다"며 "이는 대표적인 탁상행정 사례다. 이로 인해 학교 구성원 간의 심각한 갈등을 야기하고, 학교 현장의 위기까지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악순환 고리를 끊기 위해, 적정수준의 행정실 인력 충원과 조직 개편시 학교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노조는 폭증하는 행정업무 적정인력 배정, 학교갈등 방관하는 교육청 각성, 강화되는 시설안전 관리인원 증원 등을 촉구했다.
기자회견에는 신동근 공무원연맹 수석부위원장이 연대사를, 황채민 노조 정책교섭국장과 김영중 노조 조직강화본부장 등이 현장 발언을 이었다.
기자회견에서 노조는 '학교 현장 갈등 극복을 위한 학교행정지원센터 확대 및 신설 촉구서'를 교육청 기획조정실 관계자에게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