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포 통진읍의 한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접수돼 관련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이번 신고가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될 경우 경기도 파주·연천에 이어 국내 세 번째 발병 으로 한강 '저지선' 을 뚫고 한강 이남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오전 6시 40분쯤 경기도 김포시의 한 양돈농가에서 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접수 됐다고 밝혔다.이에따라 방역 당국은 가축방역관을 현장에 보내 임상 관찰을 벌이는 한편 이 농장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해 정밀검사를 하기로 했다.
정밀검사 결과는 이르면 이날 밤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당국은 이와 함께 초동방역팀을 투입해 사람·가축·차량 등을 이동 통제하고 소독 등 긴급 방역 조치에 들어갔다.
농식품부는 "농장주가 이날 어미 돼지 4마리가 유산 증상을 보여 김포시에 신고했다"며 "농장 내CCTV로 이상 증세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 농장은 모돈 180마리를 포함해 돼지 1800마리를 기른다.
앞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된 파주 농장으로부터 약 13.7㎞, 연천 농장으로부터 45.8㎞ 각각 떨어져 있다.김포 의심 농장의 반경 500m 내에는 이 농장을 포함해 3곳에서 돼지 2700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범위를 3㎞를 넓혀 보면 총 8개 농장에서 약 3275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또 신고 농장은 울타리가 설치돼 있고, 잔반(남은 밥) 급여는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농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관리지역인 6개 시·군 안에 있다.
특히 중점관리지역에 있는 농장은 3주간 다른 지역으로 돼지를 반출할 수 없다. 다만 지정된 도축장 4곳에만 출하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방역 추진상황 점검 회의에서 "현재 긴급 차단 방역 조치 중"이라며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기 때문에 소독약과 생석회를 도포하는 등 그간의 방역 조치를 조속히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이날을 '전국 일제 소독의 날'로 정하고 농협 보유 소독 차량과 군 제독 차량 등을 동원해 양돈 농가와 관련 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소독을 했다.
백신과 치료 약이 없어 돼지에 치명적인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 17일 경기 파주에서 첫 발생한 데 이어 18일 경기 연천에서도 확진됐다.20일에도 파주에서 2건의 신고가 있었지만 음성으로 최종 판정됐다.
김포시 관계자는 "어제(22일) 비가 내린 상황 등을 고려해 방역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시료 검사 결과를 보고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등ASF확산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방역 당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2개 농가와 역학관계가 있는 농장을 대상으로 정밀검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