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내집 마련 나이 평균 43.3세...신혼부부 "집값 43% 대출받아"

국토연구원 '2018년 주거실태조사 보고서..."청년·신혼 80% 이상 주택 대출 임대료 부담 느껴"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43세에 자기 집을 처음 마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서 말이 내 집이지 평균 집값의 38%는 은행 등 금융기관 대출로 충당하고 있으며, 71%가 주택 대출이나 임대료 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토연구원이 최근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최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년 내 처음으로 집을 마련(구매·분양·상속 등)한 가구의 주택 장만 시점 가구주 평균 연령은 43.3세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지난해 6~12월 표본 6만1275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첫 내집 마련 평균 연령은 계속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2016년 41.9세에서 2017년 43세로, 이번에 더 많아졌다.2016년(41.9세)과 비교하면 2년 새 1.4세 높아진 것이다.     

저소득층 자가 마련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소득 하위 가구(소득 10분위 중 1∼4분위)에서는 최근 4년 내 생애 최초주택을 마련한 가구주의 연령이 평균 56.7세로 조사됐다.이 같은 결과는 거의 환갑에 이르러서야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는 셈이다.

소득이 늘어나는 것에 비해 집값 상승폭이 너무 큰 게 내집 마련 평균 연령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내 집 마련 방법은 기존 주택 구매(57.6%)가 가장 흔했다. 이어 신축 건물분양·구매(20.8%)와 증여·상속(15.6%) 순이었다. 수도권에선 특히 내집 마련 방법으로 기존 주택 구매 비율이 64.7%로 높았다.

어렵게 집을 살 때 재원은 상당 부분 대출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구매 당시 주택가격 대비 금융기관 주택 대출금 비율(LTV1)은 평균 37.8%로, 이는 2017년 조사 당시 38.2%보다 소폭(0.4%p) 낮아지만 여전히 40%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한편, 자산이 별로 없는 청년과 신혼부부의 경우 집값 기준 대출 부담이 훨씬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가구(가구주 연령 만 20∼34세)와 신혼부부 가구(혼인 5년 이하·여성 배우자 연령 만 49세 이하)의 주택 구입 당시 주택가격 대비 주택 대출금 비율(LTV1)은 각 45.6%, 43.2%나 됐다.

이에 따라 일반 가구의 70.7%가 "주택 대출금이나 임대료 상환이 부담된다"고 답했다. 이 답변 비율은 청년 가구(84.3%)와 신혼부부(82.7%)들이 더 심했다.청년·신혼부부 열 집 가운데 여덟 집 이상이 주택 관련 대출·임대료가 버겁다고 호소한 셈이다.   

청년, 신혼부부들은 그럼에도 내 집 마련의 꿈을 포기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혼부부 가구의 83.3%가 내집 마련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년가구의 71%는 "내집 마련이 꼭 필요하다"고 답해 자가 소유의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이 비율은 일반가구(82.5%)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