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1 신옥 인턴기자 | 최근 강릉 앞바다에서 2톤 규모의 마약 빌반입 선박이 검거됐다는 보도를 접했다.
해당 보도를 처음 접할 당시 기자의 눈과 귀를 의심했다. 강릉은 푸른 바다와 해돋이가 생각나는 관광명소다. 마약과는 거리가 먼 이곳에서 마약 선박이 검거됐다는 것은 기자뿐 아니라 다수 국민에 큰 충격일 수밖에 없다. 달리 말해 거대한 어둠이 조용히 우리 일상에 스며들었던 셈이다.
수사당국에 따르면 마약 2톤은 돈으로 환산할 시 20조원에 달한다. 2톤의 마약은 1회 투약 기준 한 번에 2억명이 투약할 수 있다고 한다. 이번 마약이 적발되지 않았다면 다수의 국민이 마약에 노출될 위험에 사로잡혔을 것이다.
더 주목할 부분은 이 사건이 단순 ‘남의 일’로 치부될 없단 점이다. 마약은 더 이상 일부 계층이나 특정인의 문제가 아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1999년 마약청정국 지위를 잃었고 2023년 검거된 마약 사범은 2만명을 넘긴 실정이다.
최근엔 10대 청소년들이 돈을 모아 마약을 구입하는 등 마약 사각지대에 고스란히 노출됐다고 한다. 마약 사안을 더 이상 수사기관에만 의지하지 않고 민관과 각계각층이 힘을 합쳐야 할 때로 보여진다.
이 방어선이 뚫린다면 우린 새로운 지옥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자부한다. 이 시간을 통해 독자들 모두 ‘마약 예방’에 대한 고찰을 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