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해움·새들’… 지역 예술인 육성 공간으로 자리잡다

시사1 박은미 기자 | 고양특례시는 ‘해움’과 ‘새들’을 예술가들의 성장 공간과 지역 주민들의 예술 소통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 2022년 7월에 개관한 해움·새들은 역량 있는 유망 예술인을 선별해 20여 명의 입주작가를 양성, 배출했다. 오는 3월부터는 3기 입주작가 13명이 입주해 새로운 작품 세계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고양시 예술창작공간이 지역 내 예술을 꽃피우는 거점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예술인들의 활동 기반을 지원하고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4년 차 접어든 예술창작공간 해움·새들…입주작가 만족도 높아 = 고양시는 예술창작공간으로 해움과 새들을 직접 운영하고 있다. 예술창작공간 지원은 문화예술인 복지제도 중 하나로, 예술가에게 작업 공간을 제공해 일정 기간 한 곳에 체류시키고 색다른 문화 환경에서 창작, 발표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해움은 경기도 ‘유휴공간 문화재생 지원사업’에 선정돼 기존 일산호수공원 내 고양600년기념전시관을 리모델링하여 조성됐으며 ‘함께 움트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또 새들은 군부대 철수에 따라 인계된 신평군막사가 새롭게 탈바꿈한 곳으로 ‘새로운 들판’이라는 뜻을 품었다.

 

개관 4년 차를 맞이한 해움과 새들은 도시재생 차원의 유휴공간 활용 목적에서 나아가 지역 문화예술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호수공원 입지를 적극 활용하는 해움은 연평균 15회 기획 전시를 열어 시각예술 작품을 소개했고, 호수예술축제(2022), 대한민국 독서대전(2023), 고양국제꽃박람회(2024년) 등 지역 축제에 어울리는 작품 전시로 볼거리를 더했다.

 

해움 2기로 입주한 리혁종 작가는 “조각이나 공간 설치 작품, 커뮤니티를 위한 작품 등 호수공원 자연물을 다방면으로 창작에 활용할 수 있어 풍성한 시간을 보냈다”며 “작가에게 영감의 화수분이 되어준 해움이 문화적 새로움을 길어 올리는 샘처럼 솟아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민 대상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전시 해설사 등 전문 인력 성장 도와 = 고양시는 해움, 새들을 통해 전문 예술인 양성을 지원하고, 인적 자원을 활용해 문화예술 생태계 질적 수준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해움은 시민 대상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아픈 식물을 예술가와 시민들이 함께 돌본 ‘다시, 해움(김이박)’▲호수 산책의 영감을 글과 그림으로 담은 ‘산책자의 드로잉 노트(서정배)’▲회화와 조각을 넘나들며 두 매체의 재료와 속성을 탐구한 ‘조각마음조각(임소담)’등을 진행했다. 원데이 클래스 형식이 아니라 짧게는 한 달, 길게는 한 계절까지 작가와 함께 장기간으로 호흡하는 것이 해움 예술교육의 차별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