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곽상락 기자 |울산 12경중의 하나인 울산 동구에 위치한 대왕암 공원은 우리 나라에서 울주군에 있는 간절곶과 함께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이라 새해 일출을 보기 위해 관광객들이 구름 같이 모이고 평일에도 많은 관광 인파와 운동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둘레길과 함께 확 트인 바다와 울산 앞바다에 정박중인 배들도 보인다. 대왕암의 유래는 신라시대 삼국 통일을 이룩했던 문무대왕의 왕비가 죽은 후 문무대왕을 따라 호국룡이 되어 울산 동해의 대암 밑에서 잠겼다는 신비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시사1 노은정 기자 | 합천영상테마파크 맞은편, 황강 줄기를 따라 맑고 평온한 풍경이 펼쳐진다. 햇살을 머금은 강물 위로 푸른 산과 하늘이 고스란히 비치고, 나뭇가지 사이로 비쳐든 빛은 계절의 깊이를 조용히 전한다. 사람들의 발길이 잠시 멈춘 이곳은, 자연이 잠깐 머물다 간 듯한 고요함을 간직하고 있다.
시사1 윤여진 기자 | 오동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장이 기자간담회를 갖고 출입기자들과 질의 응답을 하고 있다.
시사1 신옥 기자 | 독도 동도의 전경이다. 오른쪽에 있는 뾰족한 바위들과 ‘코끼리 바위’로 알려진 구멍 뚫린 기암이 함께 보이며, 웅장하고 신비로운 섬의 자연 형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왼쪽 하단에는 독도 선착장에 도착한 관광객들이 모여 있다. 대한민국의 독도 서도(서쪽 섬)의 모습으로, 해양경비대가 상주하는 건물이 있는 높은 바위산이 보인다. 아래에는 태극기를 흔드는 방문객들의 모습이 보이며, 독도를 지키는 국민적 의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케이블은 물자 수송용 설비다. 독도 인근의 바다 위에 솟아 있는 기암 중 하나이면서 자연이 만들어낸 독도의 명물인 ‘코끼리 바위’의 클로즈업. 하단에 자연적으로 뚫린 구멍이 특징이며, 물결 위로 우뚝 솟은 형상이 장관을 이룬다. 독도의 동도 앞에서 한 방문객이 땋은 머리에 태극 문양이 있는 빨간 머리띠를 두르고, 태극기를 들고 두 팔을 번쩍 들고 있다. 독도를 향한 자긍심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천사섬 신안 세계조개박물관의 전시장에는 세계 각국에서 수집한 1만 천여개의 조개가 전시되어있고, 세계에서 가장 크다는 대왕 조개는 약 89cm 크기의 대왕조개는 다 크면 150cm에 무게 200kg까지 자라는 사람까지 잡아먹는다 라는 소문을 가지고 있는 무시무시한 조개도 전시되어 있다.
시사1 윤여진 기자 |더불어민주당 제2기 원내대표 후보 합동토론회가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리고 있다. 후보자는 기호1번 김병기 의원과 기호2번 서영교 의원이다.
시사1 장경훈기자 | 흙백 사진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수채화 그림처럼 느껴지기도 한 남도의 섬 신한 자은도가 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멈추게 한다. 특히, 자은도는 잔잔한 바다와 희미한 구름이 수채와 물감을 풀어 놓은 듯한 그림으로 느껴지고, 염전과 초록빛 들판들이 자연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시사1 윤여진 기자 | 꽃속에 둘러쌓인 이렇게 아름다운 국회인데 국회의원들도 아름다운 마음을 가지고 국민을 위해 최선 다하는 정치인이 되었으면 한다. 대부분 국민들은 아름다운 좋은 모습 기다하고 있다.
시사1 나성주 인턴기자 | 오늘 제70회 현충일, 백마고지를 찾은 발걸음들은 조용히 그리고 묵직하게 위로를 전하고 있었다. 수십 개의 태극기가 양옆으로 휘날리는 길을 따라, 비에 젖은 대지 위로 고요한 묵념이 흐르고 있었다. 백마고지는 한국전쟁 당시 24번이나 주인이 바뀌었던 치열한 격전지로, 국군 제9사단 ‘백마부대’가 이름을 걸고 사수해낸 전적지다. 지금도 이곳을 찾는 이들은 단순한 관광객이 아니다. 그들의 발걸음은 기억을 걷고, 그들의 시선은 희생을 마주한다. 기념비를 향해 나아가는 가족과 참배객들 사이로, 오늘 따라 더욱 선명하게 펄럭이는 태극기는 살아있는 교훈이다. 이름 없이 쓰러져간 이들의 넋을 기리는 길, 그 길 위에서 우리는 다시 다짐한다. "잊지 않겠습니다." 누군가는 어린 자녀의 손을 잡고, 누군가는 노구를 이끌며, 또 다른 이는 혼자서 천천히 걸음을 옮긴다. 그 모습은 마치 하나의 민족 서사처럼 진중하고도 아름답다. 오늘 백마고지는 단지 전적지가 아니라, 살아있는 역사이며,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한 약속의 장소였다
시사1 장경훈 인턴기자 |부산 영도의 푸른 하늘 아래, 한눈에 들어오는 선명한 붉은빛의 중리항방파제등대가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눈부신 햇살을 머금은 등대의 곡선은 마치 이곳을 지나는 모든 이들에게 따뜻한 인사를 건네는 듯하다. 매끈한 철제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중리항방파제등대’라는 명패 아래 든든히 닫혀 있는 출입문이 보인다. 파도를 견디고, 어둠을 밝히며, 수많은 어선과 사람들의 안녕을 위해 묵묵히 자리를 지켜온 등대. 이곳은 단순한 시설이 아닌, 오랜 시간 동안 항구를 지켜온 '영도의 붉은 심장'이라 할 수 있다. 바다를 향한 첫걸음을 내디디는 사람들에게 이 등대는 등불이 되고, 돌아오는 이들에게는 반가운 이정표가 된다. 해풍을 맞으며 선 등대의 붉은 외관처럼, 우리 삶도 언제나 흔들림 없이 서 있기를 바라본다. 이곳을 스쳐 간 누군가의 기억 속에도, 중리항방파제등대는 오늘처럼 뜨거운 햇살 아래 우뚝 솟은 붉은 실루엣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