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한양도성 인왕구간 정상 기차바위초소 하부 약 50m 지점에서 폭6.7m, 높이3.7m의 체성과 여장 일부가 무너져 내린 사실을 7일 00시 20분경 확인하고 접근차단 안전띠를 설치한 후 시민 접근금지를 위해 안내원을(군부대협조)배치했다고 밝혔다.
해당 구간은 조선 태조 때 축성된 이래 원형이 보존돼 있던 구간으로 그 간 배부름, 풍화 현상이 심각해 서울시(한양도성도감)는 22개소에 계측기를 설치, ‘14. 7월부터 변위여부를 모니터링 해왔던 곳 중 한 곳이다.
서울시는 동 구간을 포함해 일부 변위가 예측된 백악, 남산 등 3개소를 위험구간으로 지정해 ‘14.12월부터 순성로 바깥쪽을 폐쇄 또는 우회조치 시킨 바 있으며, 이번 접근금지는 발견된 구간의 도성 안쪽에 대해 이뤄진 것이다.
서울시는 7일 오전 시 공무원들의 현장 확인 이후 오후 3시 관련분야 전문가(구조 안전, 성곽, 문화재 등) 등과 현장 확인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주요 원인을 축조 후 오랜 세월이 경과해 부분침수 등 내부 토사가 유입되면서 토압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는 해당 구간에 대해서는 성벽해체 후 기저부 지반침하 여부를 조사한 후 지반보강을 검토하기로 했다.
다만 현장을 확인한 전문가들은 배부름이 심한 다른 부분의 경우 먼저 예단해 해체 보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순성로 우회 및 폐쇄 등 안전 조치 후 지속적으로 계측관리 하는 방안이 현재로서 가장 합리적인 방안임을 재차 확인했다.
성벽은 일반 건물과 달라 원형보존이 중요하고 해체 보수 시 기존 성돌의 재활용이 어려운 만큼 붕괴될 경우 해체 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서울시는 그 간 배부름 구간에 대해 해체·보수 또는 원형존중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의견(‘14.12월)과 한양도성 보존 관리활용 마스터플랜에 따라 원형존중 보존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방침을 수립한 바 있다.
아울러 현재 계측관리중인 22개소뿐만 아니라 한양도성 전체구간에 대해 긴급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며 문화재청에서도 문화재보수를 위한 예산 긴급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