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포스트 메뉴

[우태훈의 詩談/52] 이생진 ‘그리운 바다 성산포’

살아서 고독했던 사람 그 사람 빈 자리가 차갑다

아무리 동백꽃이 불을 피워도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그 사람 빈 자리가 차갑다

 

나는 떼어 놓을 수 없는 고독과 함께

배에서 내리자 마자 방파제에 앉아 술을 마셨다

 

해삼 한 토막에 소주 두 잔

이 죽일 놈의 고독은 취하지 않고

나만 등대 밑에서 코를 골았다

 

술에 취한 섬 물을 베고 잔다

파도가 흔들어도 그대로 잔다

 

저 섬에서 한 달만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뜬 눈으로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그리움이 없어 질 때까지

뜬 눈으로 살자

 

성산포에서는 바다를 그릇에 담을 순 없지만

뚫어진 구멍마다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뚫어진 그 사람의 허구에도

천연스럽게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은 절망을 만들고

바다는 절망을 삼킨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이 절망을 노래하고

바다가 그 절망을 듣는다

 

성산포에서는 한 사람도 죽는 일을 못 보겠다

온종일 바다를 바라보던 그 자세만이 아랫목에 눕고

 

성산포에서는 한 사람도 더 태어나는 일을 못 보겠다

있는 것으로 족한 존재

 

모두 바다만을 보고 있는 고립

성산포에서는 주인을 모르겠다

바다 이외의 주인을 모르겠다

 

바다는 마을 아이들의 손을 잡고

한나절을 정신없이 놀았다

아이들이 손을 놓고 돌아간 뒤

바다는 멍하니 마을을 보고 있었다

 

마을엔 빨래가 마르고 빈 집 개는 하품이 잦았다

밀감나무엔 게으른 윤기가 흐르고

저기 여인과 함께 탄 버스에는 덜컹덜컹 세월이 흘렀다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죽어서 실컷 먹으라고 보리밭에 묻었다

 

살아서 술을 좋아했던 사람,

죽어서 바다에 취하라고 섬 꼭대기에 묻었다

 

살아서 그리웠던 사람,

죽어서 찾아가라고 짚신 두 짝 놔두었다

 

삼백육십오일 두고두고 보아도

 

성산포 하나 다 보지 못하는 눈

육십평생 두고두고 사랑해도

다 사랑하지 못하고 또 기다리는 사람.

 

- 이생진, 시 ‘그리운 바다 성산포’

 

이번 칼럼에서는 교육자 출신의 시인인 이생진 시인의 작품인 ‘그리운 바다 성산포’를 소개하고자 한다. 1929년 2월21일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난 이 시인은 1949년 서산 농림학교를 졸업한 후 1951년부터 1954년까지 군복무를 했다. 이후 1965년부터 1969년까지 국제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고, 1969년부터 1970년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언어학을 전공하다 중퇴했다. 이 시인은 1954년부터 1993년까지 중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이 시인의 ‘그리운 바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은 누군가를 그리워하며 기다리고 사랑하며 살아간다’고 설명했다. ‘저 섬에서 한 달만 살자’라든지, ‘저 섬에서 한 달만 뜬 눈으로 살자’라든지, ‘저 섬에서 한 달만 그리움이 없어질 때까지’ 등의 문장이 이를 방증한다.

 

필자 또한 섬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래선지 이 시인이 ‘그리운 바다 성산포’를 통해 ‘섬이란 육지를 그리워하고 동경하고 고독한 나날을 보낸다’고 함축한 의미를 비교적 쉽게 공감할 수 있었다.

 

섬에는 등대가 있고 주변 바다에는 어선과 여객선이 떠다닌다. 바다에는 물고기와 조가비들이 서식한다. 몇 안 되는 민가 어촌에는 옆집에 누구누구가 사는지 다 알고 있다. 그들은 서로 의지하면서 섬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다. 도시에 사는 우리는 지금 우리 이웃들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을까. 한 번 곰곰이 생각해볼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싶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