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일본보다 2.9배 빠르게 고령화

임금체계 개편 등으로 고령화 따른 부담 줄여야

 

 

(시사1 = 장현순 기자) 출산율 하락, 수명연장 등에 따른 고령화 추세 속에 한국 제조업의 인력구조도 고령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20여 년간(’99∼’19년) ‘한국과 일본의 제조업 고령화 추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제조업근로자 평균연령은 1999년 35.5세에서 2019년 42.1세로 6.6세 높아진 반면, 일본은 40.4세에서 42.7세로 2.3세 증가했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가 일본보다 증가폭 기준으로 2.9배나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것이다.

제조업근로자 연령대로는 한국은 청년층(15∼29세) 비중이 1999년 32.0%에서 2019년 16.0% 수준으로 떨어졌다.

30‧40 비중은 30대가 6.3%p 감소하고, 40대는 3.6%p 증가해서 총 2.7%p 줄었다. 반면 50‧60 비중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50대는 한 자리 수인 8.4%에서 22.4%로 14.0%p 늘었고,60세 이상은 1.7%에서 6.4%로 4.7%p 증가했다.

일본은 청년층(15∼29세) 비중이 줄었으나 감소폭(6.4%p)이 한국(16.0%p)보다 작았다.

30‧40 비중에서는 30대는 1.2%p 감소했고, 40대는 3.7%p 증가하면서 총 2.5%p 늘었다. 50‧60도 비중이 모두 증가한 한국과 달리 일본은 50대 비중이 23.9%에서 22.4%로 1.5%p 줄었고, 60대는 3.0%에서 8.4%로 5.4%p 증가했다.

 

한국과 일본의 연령별 임금 또한 한국은 전반적으로 일본에 비해 임금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저연령층보다 고연령층에서 임금 증가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1999년 대비 2019년 임금을 보면, 전(全)연령대에서 임금이 2배 이상으로 증가했는데 그중에서도50대가 3.14배로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2.77배)은40대(2.88배)에 이어 임금증가 속도가 빨랐다.

청년층(15∼29세)은 2.72배, 30대는 2.48배로 나타나 젊은 연령층의 임금 증가속도가 느렸다.

 

일본은 전반적으로 임금 변화가 크지 않은 가운데 30대 및60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1999년 대비 2019년 임금이 각각 0.97배, 0.98배로 줄었고,40대에서는 임금 변화가 없었다. 청년층(1.18배) 및 50대(1.07)에서만 임금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저연령층보다 고연령층의 임금이 빠르게 오른 것은 연공서열 위주의 임금체계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한다.

한국은 근속‧연령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호봉급 도입 사업장이 직무의 난이도·기술 위주의 직무급이나 숙련정도 등을 따르는 직능급보다 많다.

 

이에 비해 일본은 직능급과 역할‧직무급을 도입한 사업장이 절반 이상이었고 연령‧근속급은 47.1%로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