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신유재 기자 |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제1노조)이 내달 12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것을 공식 선언했다. 임금 인상, 구조조정 중단, 안전 인력 확충 등 핵심 현안을 두고 사측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연말 대중교통 혼란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노조는 25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의 안전이 담보되지 않으면 총파업은 불가피하다”며 “서울시와 공사는 대규모 인력 감축을 중단하고 부당한 임금 삭감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사측의 입장 변화를 압박하기 위해 12월 1일부터 준법 운행에 돌입한다. 이는 규정 속도를 준수하고, 안전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방식으로 평소 대비 운행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날 노조가 파업을 선언할 수 있는 법적 기반도 갖춰졌다. 노사는 서울지방노동조정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시도했으나 기한 내 합의가 불발됐고, 지노위는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앞서 실시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도 83.5% 찬성으로 가결되며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한 상태다.
이번 파업 예고의 핵심 쟁점은 ▲임금 인상 ▲구조조정 중단 ▲신규 채용 규모다. 서울시는 경영 정상화를 위한 인력 효율화를 강조해 왔지만, 노조는 안전 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서 구조조정은 “위험을 키우는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지하철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는 상황에서 인력 축소는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조치”라며 협상 재개를 촉구했다.
한편 서울 지하철은 하루 70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핵심 대중교통 수단이어서, 실제 총파업이 현실화되면 시민 불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부와 서울시는 비상 수송대책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