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핵잠수함 도입, ‘수입’ 아닌 ‘기술 자립’으로 확보해야”

시사1 박은미 기자 | 국민의힘은 최근 한미정상회담 과정에서 논의된 핵추진 잠수함 도입 사안과 관련해 기술적 자립을 주문했다.

 

조용술 국민의힘 대변인은 4일 논평에서 “한미 정상회담 직후 이재명 정권은 ‘한국이 핵잠수함 보유국이 됐다’고 선언했다”며 “북핵 위협이 고조된 상황에서 핵잠수함 도입은 필요한 조치”라고 운을 뗐다.

 

조용술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승인하겠다며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은 훌륭한 미국 필리 조선소에서 건조될 것’이라고 밝혔다”며 “하지만 이는 ‘기술 자립’과는 거리가 먼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조용술 대변인은 “국민은 정부의 발표를 핵연료와 관련 기술 이전을 통한 ‘국내 건조’로 이해하고 환영했다”며 “핵잠수함은 단순한 수입품이 아니라, 우리 기술로 확보해야 할 자주국방의 상징”이라고도 했다.

 

조용술 대변인은 그러면서 “그러나 정상회담 이후 양국의 공식 발표문이나 공동 성명 어디에도 구체적 내용은 없었다”며 “결국 정치적 수사만 남은 채 핵잠수함 도입이 표류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조용술 대변인은 “오늘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대통령을 예방합니다. 이번 만남에서 핵잠수함 도입 문제에 대해 '기술 이전'과 '국내 건조'라는 두 가지 원칙이 분명히 합의돼야 한다”고도 했다.

 

조용술 대변인은 재차 “이제 필요한 것은 정치적 선언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문서화의 시간’”이라며 “정부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는 외교·안보의 전환점을 마련하길 기대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