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1 윤여진 기자 |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이석연 위원장은 22일 오전 11시 이종찬 광복회장을 예방하고 국민통합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이는 국민통합에 대한 국가 원로의 충고를 경청하고자 하는 이 위원장의 취지에 따라 마련된 자리다.
이 자리에는 광복회에서 김진 상근부회장과 유민 기획조정실장, 통합위에서 김후진 통합지원국장과 허윤서 정책연구조사과장이 배석했다.
현장에선 건국절 논란과 국군의 연원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석연 위원장은 “대한민국은 1919년에 건국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현행 헌법상 ‘대한민국은 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라고 명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이승만 대통령도 자신의 법통을 1919년 3.1운동의 이념을 이어받은 임시정부라고 천명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석연 위원장은 그러면서 “따라서 건국절 논란은 위헌적 발상으로, 공식적 차원의 논쟁을 끝내야 한다”고 했다.
이에 이종찬 회장은 “헌법이 곧 우리의 정체성이며,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인정함으로써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서 논의된 국군의 연원에 관해서도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 회장은 “의병에서 독립군-광복군-국군에까지 이르는 국군의 연원을 인정하는 것이 우리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 위원장은 “국군의 연원은 의병이 맞으며, 이를 국군조직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본다. 육군사관학교 전신도 신흥무관학교로 보아야 한다”고 동의하면서 “뼈아픈 고민과 성찰로 이제는 정부가 바로 세워야 한다. 저도 대통령에게 건의하면서 광복회와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