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렌탈 소액주주연대, 대주주 특혜 유상증자 철회 요구…대통령실·공정위에 탄원서 제출

시사1 박은미 기자 | 액트는 롯데렌탈 소액주주연대와 롯데렌탈이 추진 중인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대해 공식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에 탄원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주주연대는 이번 조치를 시작으로 법적 대응을 포함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롯데렌탈 대주주 변경 과정에서 드러난 불공정한 거래 구조다. 지난 2월, 대주주인 호텔롯데 등은 보유 지분을 홍콩계 사모펀드인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에 주당 7만7115원에 매각했다. 어피니티는 아시아 전역에서 대형 M&A를 주도하는 글로벌 투자사로, 소비재·모빌리티·금융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 거래 금액은 당시 시장 가격 대비 약 262%의 경영권 프리미엄이 포함된 수준이었다.

 

그러나 같은 날 롯데렌탈 이사회는 어피니티를 대상으로 주당 2만9180원, 대주주 매각가의 약 38% 수준으로 책정된 가격에 신주 726만 주(발행주식의 20%)를 발행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의결했다. 주주연대는 이 구조가 “대주주에는 약 1조 원에 달하는 매각 차익, 어피니티에는 평균 인수단가를 낮추는 특혜를 제공하는 반면, 기존 소액주주는 지분 희석과 주가 하락이라는 피해만 떠안는 ‘불공정 거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롯데렌탈은 4500억 원 현금 보유, A+ 신용등급을 가진 우량기업으로, 대규모 자금조달을 위한 제3자 배정 명분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주주연대는 이번 거래를 “대주주와 사모펀드의 이해만 반영된 기형적 구조”라고 규정하며, 유상증자의 즉각 철회와 모든 주주가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공개매수 방식 재논의를 요구했다.

 

소액주주연대와 액트가 제출한 탄원서에는 ▲유상증자 철회 ▲주식매매·유상증자 연계 구조의 적정성 검증 ▲공정위의 시장 독과점 심사 강화 ▲상법 및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에 대한 철저한 조사 촉구 내용이 담겼다.

 

주주연대 박현수 대표는 “롯데라는 브랜드를 믿고 공모가 59,000원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들은 오랜 기간 주가 하락을 감내했다. 그런데 회사가 대주주와 특정 펀드의 이익만 챙기려는 것은 명백한 배신”이라고 비판했다.

 

액트 이상목 대표는 “형식적 정당성 뒤에 숨어 소액주주 부를 이전하는 행위는 자본시장 신뢰를 무너뜨린다”며 “법적 대응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액트 플랫폼에 모인 롯데렌탈 소액주주는 1206명, 보유 지분은 1.76%(63만9259주)다. 주주연대는 “이번 사태는 특정 기업 문제가 아니라 한국 자본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것”이라며 향후 집단행동을 확대하고 제도 개선을 위한 논의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