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1 박은미 기자 | 하다출판사에서는 이문학, 정호영작가의 신간 '1975 사이공 대탈출'을 공식 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신간은 전쟁과 혼란의 한복판에서 자국민을 구출하기 위한 국가의 결단과 군의 사명감이 만들어낸 실화를 담은책으로 단 한 명의 사상자 없이, 1902명을 구출한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을 50년 만에 책으로 담았다.
1975년 4월 30일은 베트남전 종전과 함께 남베트남(월남)이 공산화되는 순간, 사이공(현 호찌민)은 대혼란에 빠졌었다. 미국은 피란민 철수를 위한 헬기 작전(Operation Frequent Wind)을 개시했지만, 예상치 못한 포격과 민간인 대혼잡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었다.
이런 와중 대한민국 해군은 비밀리에 파견된 상륙함(LST)을 통해 사이공 주재 한국 공관 직원 및 교민, 그리고 한국과 연을 맺은 베트남인 등 총 1,902명을 철수시키는 데 성공했다. 바로 ‘십자성 작전’이었다.
해당 작전은 대한민국 정부가 처음으로 해외 자국민을 대규모로 철수시킨 군 작전으로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은 전례 없는 구출 사례로 평가된다. 하지만 당시 작전의 민감성과 외교적 파장을 우려해, 30년 넘게 철저히 군사기밀로 봉인되어 있었다.
신간 '1975 사이공 대탈출' 은 당시 작전을 기획하고 직접 수행한 해군 작전과장 이문학 예비역 중령의 생생한 증언과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했다. 공동 저자인 정호영 작가는 국방 전문 기자로서 수년간의 취재를 통해 작전의 전말을 검증하고 스토리로 재구성했다.
본문에는 긴박했던 작전의 전개뿐 아니라,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직접 지시, 한국 해군의 출항 결정, 사이공 현지 대사관의 긴급대응, 미군 측과의 협력·충돌 상황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또 후반부에는 베트남전에 참전한 한국군의 활동과 그 외교·경제적 파급까지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하다출판사 관계자는 “이 책은 단순한 군사작전 기록이 아니라, ‘국가는 위기 속에서 국민을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한 시대의 답으로 오늘날 해외 파병, 재외국민 보호정책, 국제위기 대응 체계에까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