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규모 해수담수화 시설, 주민 반대로 급수 못하고 있어

  • 등록 2015.12.22 01:55:20
크게보기

고리원전 배수구와 11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방사성 물질 오염 우려 풀리지 않아

바닷물에서 생산한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었던 부산시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고리 원자력발전소의 배수구와 해수담수화 시설의 취수구가 고작 11km밖에 떨어지지 않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2008년 6월부터 시작된 ‘21세기 첨단 물산업 육성대비 해수담수화 기술력 축적’이라는 목표로 시작된 사업은 부산시가 우선협상기관으로 선정되어 총 1,954억원을 들여 기장면에 해수담수화시설을 세워 2014년 5월 준공했다. 이후 12월까지 시운전을 완료해 하루 4만5천톤의 수돗물을 생산하는 세계최대규모의 해수담수화 시설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삼중수소를 비롯한 방사성물질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철저한 검사를 요구하고 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주민들의 우려에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되기로 예정된 급수를 보류하고 지역주민 등으로 구성된 수질 검증위원회와 미국 국제위생재단 등 국내외의 전문기관에 104회에 걸쳐 수질검사를 의뢰했다.

검사 결과, 72종의 인공방사성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민들은 고리원전의 방류수 방류량, 시점 등을 모르는 상황에서 수질검사에 어떤 시료가 사용되었는지 알 수 없다는 이유로 급수를 반대했다. 또, “‘불검출’은 방사성물질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기기가 검출할 수 있는 최소 한계치가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라며 “이를 두고 안전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부산환경운동연합과 환경과자치연구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한 주민 중 60.8%는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에 반대했다. 반대한 이유로는 ‘방사능 오염 우려’가 71.2%로 가장 높았다. 부산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상수도사업본부가 낙동강보다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특정 기업의 시설 운영능력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수돗물공급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대개 지역 어촌게와 횟집 상인들로 “주민이 참여하는 수질검사에서 방사성물질은 검출되지 않았고, 먹는 물로도 기준에 적합하다”며 “해수담수화 문제로 손님들이 줄어들고 있어 빨리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시는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대화협의체를 구성해 해결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반대하는 주민들과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헌상 기자 gjstkd1230@gmail.com
Copyright @시사1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