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과의 소통을 중시해온 박원순 서울시장이 ‘소셜 특별시 서울’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과 공무원, 전문가 등을 하나로 연결한다.
공공 행정에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은 지자체 중 최초로, 서울시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시민의 시정 참여와 민관협력을 확대‧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국내 소셜미디어 보급률은 59.0%로 아시아 1위이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자는 3천만명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 재난, 안전 상황이 발생했을 때, 서울시 대표 SNS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기존 재난 및 긴급현안 초기대응 매뉴얼에는 SNS 관련 항목이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크고 작은 사고에 신속하게 소통하기위해 부서 관계자들이 채팅방을 개설했던 것을 체계화해 ‘SNS 그룹채팅방 가이드라인’도 수립한다. 향후 서울시의 공문서, 직원 명함에는 부서별 SNS 계정도 명기되고, SNS 사용기본원칙 등 소셜미디어 가이드라인과 함께 직원을 대상으로 전문 교육도 실시한다. 현재 115개 부서의 150개 SNS 계정은 통‧폐합한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소상공인 등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소상공인의 모바일 쇼핑몰을 네이버 등과 연동해 온라인으로도 판로를 확대하고, 종로 주얼리거리나 동대문 약령시 등 서울의 상권을 홍보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노인 등 SNS나 스마트폰 사용을 어려워하는 취약계층에게 무상으로 활용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계획을 세우고 있다.
서울시는 즉시 실행이 가능한 사업부터 시행하고, 계속해서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 내년에는 중장기 실행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해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여, ‘서울디지털 기본계획 2020’에 반영해 내실있게 추진할 예정이다.
황보연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단순한 소통의 영역을 넘어, 공공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소설미디어가 서울시와 시민을 밀접히 연결할 수 있도록 이번 계획을 수립했다”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공기관과 시민들이 시정과제를 함께 풀어나간다면 디지털 소통시대의 행정혁신 사례이자 롤모델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