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부진 어쩌지" 정부 단기대책 폭격

  • 등록 2015.11.11 07:18:57
크게보기

한국형 블랙프라이데이식 단기대책 잇달아... 근본적인 체질개선은 뒷전

 

‘한국형 블랙프라이데이’로 내수를 반짝 끌어올렸던 정부가 수출 부진에도 비슷한 정책을 동원해 실적 올리기에 나선다.

11월 11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주재한 ‘관계부처 합동 수출진흥 대책회의’에서, 각 관계부처 차관들과 유관기관장들은 여러 분야의 산업 수출에 대해 구체적인 지원대책 수립과 시행, 점검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중소‧중견기업의 무역보험료 할인율을 50%로 확대하고 창업기업의 수출보증 한도도 0.5억원에서 1.5억원으로 늘리는 방안이 나왔다. 기획재정부는 수출을 시작하는 중소기업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문화체육관광부는 한‧중 문화기업이 콘텐츠를 공동으로 제작할 때 금융세제를 우대하고, 콘텐츠 수출 마케팅도 지원한다. 이외에도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중소기업청, 관세청 등 많은 정부기관이 단기 수출진흥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한국의 수출부진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국내 주력 수출품은 정유‧조선‧철강 등 산업 생산품이었다. 그러나 최근 저유가, 중국의 추격 등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수출품목의 다각화가 필요한 것이다.

블랙프라이데이 역시 청년실업 등 내수시장 회복을 방해하는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뒤로 한 채, 단순한 할인행사로 내수시장을 반짝 부흥시켰을 뿐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번에도 정부가 눈 앞의 실적을 좋게 만들기 위해 단기 대책을 폭격하듯이 불어넣고 있는 셈이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단기대책도 필요하지만 다양한 분야의 국산품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헌상 기자 gjstkd1230@gmail.com
Copyright @시사1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