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국내 대표 피서지인 해운대, 광안리 해수욕장이 있는 부산 수영만 해역에 연안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한다.
연안오염총량관리제는 해양수산부 장관이 특정 해역에 목표 수질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오염물질의 배출을 관리하는 제도로, 첫 시행은 2008년 마산만 해역에 도입되어 현재 마산만, 시화호 해역에서 시행 중이다.
이번에 오염총량관리제를 시행하게되는 수영만 해역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평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1.49mg/L로, 해수욕 등에는 적합한 수질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속적인 해운대 지역 개발, 인구유입 등으로 오염물질의 배출량이 늘어나고 있어 수질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해수부는 2011년부터 타당성조사와 기초조사를 실시해 수영만 해역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지난 10월 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유기준 해수부 장관은 2019년까지 수영만 해역 총 24.5㎢로 유입되는 일일오염부하량 19,774kg 중에서 25%에 해당하는 4,860kg을 감축하기로 했다. 이에 부산광역시는 수영만 해역과 인접한 8개 구‧군에서 하수관거 정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우수저류조 신설 및 개선, 하수처리시설 개선 등의 사업에 5,819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하루 배출 가능한 오염물질은 15,718kg로 제한된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을 처음한 마산만은 COD 2.7mg/L에서 1.7mg/L로 개선되었다”며 “부산해역의 오염물질 배출 총량규제를 통해 수질을 개선하고 생태계를 회복시켜 시민과 이용객에게 모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연안오염총량관리제를 울산만과 광양만 등으로 확대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