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이 여러 문제가 있었던 경찰서 수사공간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경찰서 수사부서는 수사관들의 업무 책상에서 피의자 조사가 진행되었다. 같은 장소에서 행정업무와 조사가 함께 진행돼, 주변 수사관의 조사내용이 들려 혼잡하면서 사건관계인들의 사생활도 침해되는 등 여러 문제가 있었다.
이에 10월 23일, 경찰청은 동대문경찰서를 대상으로 새로운 수사부서 공간모형을 도입해 시범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청이 밝힌 인권친화적인 수사부서 공간개선은 첫 번째로 사무공간과 조사전용 공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조사공간은 기존 수사관들 앞의 조사 의자가 놓인 공간과 여유 공간을 활용해 별도의 증축 없이 마련되었다.
또, 피해자가 불필요하게 가해자와 대면하지 않도록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된 보호구역에 피해자보호석을 새로 만들었다. 또, 체포된 피의자가 피해자에게 함부로 접근할 수 없도록 체포피의자 조사구역과 임의수사 구역을 구분했다.
체포피의자 조사구역은 그동안 각 수사팀 사무실에서 진행되었지만, 피의자 인권침해 발생 우려가 있었고 피의자가 도주할 수도 있었다. 이에 체포피의자 통합수사공간을 신설하고, 조사과정을 영상으로 녹화해 인권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영상녹화 조사실로 조성했다.
아울러 경찰서 내에 지역경찰 업무공간도 신설해 지역경찰관들이 피의자 체포이후 지구대를 거치지 않고 경찰서로 호송할 수 있게끔 했다. 현재 지역경찰은 현행범 등을 체포하면 지구대에서 사건서류를 만들고 경찰서 수사부서로 호송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외에도 고소사건이 많은 경제팀 입구에는 상담실을 설치해, 고소인들이 복잡한 사무실이 아닌 곳에서 차분하게 전문 상담관과 체계적인 사건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강신명 경찰청장은 “창경 70주년을 계기로 인권친화적인 수사부서 공간 모형을 도입해 경찰수사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제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향후 경찰은 동대문서의 시범운영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점검하며, 현장경찰관과 민원인의 반응을 분석해 수사부서의 공간 모형을 보완‧발전시키기겠다고 밝혔다.
수사부서 구조변경 사업은 3년간 계속 추진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