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원하는 청소년 음란물 접속 차단 어플리케이션 ‘스마트보안관’이 해킹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9월 21일 AP통신 등의 외신은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의 인터넷 감시단체 시티즌 랩, 독일의 소프트웨어감시단체 큐어53의 조사 결과, 음란물 차단 앱, 스마트 보안관이 3년간 심각한 보안 문제를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앱에 가입하기 위해서 기입하는 이름, 휴대폰 번호, 나이 등의 개인정보가 암호화되지 않고 서버에 전송‧저장되어 해커들이 노리기 쉽다는 것이었다.
스마트 보안관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지원하고 있는 앱으로, 지난 4월부터 청소년이 이동통신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유해정보 차단 앱을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이용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었다. 현재 이용자는 약 35만명으로 추산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보안관리에 소홀했던 것이 맞다”며 “지난달 문제를 발견해 모든 정보를 암호화했다”고 밝혔다.
사단법인 오픈넷은 21일 논평을 통해 “유해정보 차단에만 집중해 앱이 이용자들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은 고려하지 않았다”며 “방통위는 스마트보안관 서비스를 중단하고, 방통위가 권장하는 다른 차단수단에도 철저한 보안 감사를 거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