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호놀룰루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회화 2점이 9월 22일부터 10월 11일까지 국립 고궁박물관에서 전시된다.
전시되는 작품은 16세기 제작된 ‘계회도(契會圖)’와 ‘화조화(花鳥畵)’이다. 계회도는 관료 등의 친목 모임을 그린 그림이고, 화조화는 수준높은 민화이다.
계회도의 경우, 2003년 호놀룰루미술관이 구입한 리처드 레인 컬렉션 중 하나로, 유물번호도 없이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문화재청의 전문가 실사단이 발견했다.
그림의 우측 상단에 조선 중기의 문신 윤안성(1542~1615)가 1586년에 쓴 제시가 남아 제작연도를 분명히 알 수 있어 미술사적 의의가 크다.
계회도는 일본식 족자에 걸려있었으나, 문화재청의 ‘국외문화재 소장기관 활용지원사업’을 통해 조선식 족자로 보존처리를 했다.
‘화조화’는 꽃과 새를 그린 민화 병풍으로, 소재가 다양하고 세부묘사가 정교해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발견 당시에는 병풍에 있던 그림이지만 잘라내어 코르크 패널 위에 붙인 상태로 보관되어 있던 것을, 문화재청이 다시 조선식 8폭 병풍으로 복원했다.
이 후, 두 작품은 국립 고궁박물관에서 무료로 공개되고, 미국 현지에서 특별전을 통해 소개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외에 있는 문화재의 보존처리, 전시를 위해 ‘국외문화재 소장기관 활용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