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국무회의에서 갑자기 제안한 ‘청년희망펀드’에 재계에선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기업 관계자는 17일, “청년희망펀드의 취지에 공감하고 참여하고 싶지만 목적이 재원의 조달인지 폭넓은 참여를 통해 사회적 관심을 모으는 것인지 알 수 없어 기부할 금액과 방식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재원 조달이 목적이라면 기업 명의로 큰 금액을 기부할 것이고, 참여가 목적이라면 임원들을 중심으로 개인 명의의 소액 기부를 할 텐데, 알 수 있는 것이 없어 다들 눈치만 보고 있다”가 토로했다.
다른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2천만원을 내고 월급의 20%를 기부하기로 한 것이 지침일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월급의 20%가 다소 많다는 우려의 시선도 있다.
이에, 청와대 관계자는 “청년희망펀드의 조성 방법과 활용 방법은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며 “개인 명의의 소액기부로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것에 무게가 실린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지만 “청년 일자리 문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려면 재원의 확보도 많아야 한다”고 말해 정해진 것이 없다는 것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15일, ‘청년희망펀드’ 조성을 지시하고 “저부터 단초가 되겠다”며 ‘1호 기부자’를 자임했다. 박 대통령은 2천만원을 일시금으로 기부하고, 매달 월급의 20%를 기부해, 임기말에는 약 1억원을 기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6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위원 간담회를 열고, 연말까지 청년희망재단을 신설한다. 청년희망펀드는 청년 구직자 지원과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한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 등에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또, 청년 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액대출도 검토되고 있다.
박 대통령의 취지는 사회지도층이 사재를 털어 청년 실업난을 해소하자는 것이지만, 재계에서는 불만을 표하는 사람도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사전 협조요청도 없고, 펀드의 사용처나 운용 주체도 정해지지 않았는데 참여를 유도하니 난감하다”며 “청년 대상 교육 및 창업지원사업은 이미 있는데 왜 또 펀드가 필요한지 모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