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 텅텅 비었다, 전국 사무실 공실률 13.1%

  • 등록 2015.09.17 01:33:13
크게보기

과잉 공급 상태에서 대규모 개발사업 계획됐다, 공급물량 조절 필요

 

서울 도심의 사무실이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공급물량은 계속해서 늘어나지만 불경기가 지속되어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은 16일, 올해 상반기 전국 사무실 공실률이 13.1%라고 밝혔다. 2008년 금융위기가 닥쳐왔을 때도 공실률은 5.4%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1.1%로 전국 평균치보다는 낮은 편이다. 하지만 건물별로 봤을 경우, 중소형 건물은 10%지만 대형건물은 13.1%로 나타났다. 또, 도심권의 사무실 공실률은 12.3%, 강남권이 10.8%, 여의도, 마포권이 9.2%로 임대료가 비쌀수록 공실률이 높아졌다.

지방의 공실률은 서울보다 심각하다. 부산과 대구의 공실률은 15~16%이고 인천, 광주는 18%, 대전은 21%다. 또, 임대료를 제대로 받기위해 일부러 빈 사무실이 없는 것으로 위장하고 있는 건물도 많아 실제 공실률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빈 사무실이 늘어나는 추세인데도 임대료는 크게 하락하지 않았다. 2008년 전국 평균 1㎡당 1만 5천원이었던 임대료는 올해 상반기 1만 4,800원으로 2천원 떨어졌다. 같은 기간 서울은 아이러니하게도 1만 8,600원에서 2만 5백원으로 임대료가 올랐다. 대형건물 관리업체들이 공실이 있어도 임대료를 몇 달간 면제해주는 ‘렌트 프리’방식을 이용해 적정 임대료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소건물들은 임대료를 낮춰서라도 사무실을 채우는 것이 유리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 값의 임대료를 받아도 공실률이 10% 이상이라면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이에 2012년 서울의 사무실 임대료는 고점을 찍고 이후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빈 사무실의 증가는 신축 건물의 과잉공급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산관리업체 신영에셋은 서울, 분당 지역에 2010년부터 5년간 900만㎡의 사무실이 공급되었다고 밝혔다. 1년에 180만㎡씩 늘어난 것이다. 2001~2009년까지 연평균 83만㎡의 사무실이 공급된 것에 비하면 두 배 이상으로 공급된 셈이다.

이러한 과잉 공급 상황에서도 상암읓, 판교 제2테크노밸리, 강동첨단업무지구 등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임대 사무실도 주택시장처럼 수요에 맞추어 공급을 조정할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헌상 기자 gjstkd1230@gmail.com
Copyright @시사1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