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7일 이후 생산되는 승용차나 가전제품 등의 개별소비세가 30% 인하된다. 또, 가구, 사진기, 시계, 가방, 모피, 귀금속 등의 과세기준가격도 기존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녹이기 위한 방안이 발표되었다.
8월 26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주재로 진행된 제 16차 경제관계장관회의는 최근 소비동향과 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소비 주체들의 소비 심리는 작년 세월호 참사로 인해 침체되었지만, 저유가 등의 요인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번 메르스 사태로 인해 소비심리는 다시 침체기를 맞이하였다. 특히, 지난 6월의 소매 · 서비스업의 경우 4년 만에 최대 폭으로 떨어졌다. 이에 정부는 소비부진이 장기화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소비 심리 진작을 위한 ‘소비활성화방안’을 발표했다.
가장 먼저, 개별소비세를 완화해 소비를 진작할 방침이다. 부가가치세에 더불어 개별소비세가 부과되는 승용차, 대용량 가전제품, 녹용, 로열젤리 등의 물품의 개별소비세를 30% 인하하거나 과세기준금액을 상향해, 소비에 따르는 세금부담을 줄였다.
또, 국내 관광 · 여가를 활성화하기위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던 ‘코리아 그랜드 세일’의 혜택을 내국인도 볼 수 있도록 확대한다. 그리고 전통시장, 나들가게도 코리아 그랜드 세일에 참여해 ‘전통시장 그랜드 세일’, ‘나들가게 그랜드 세일’ 같은 행사도 벌일 계획이다. 10월 중에는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처럼 전국적인 유통업체 대규모 합동 프로모션도 추진한다.
아울러 가을 관광주간 · 가을휴가 활성화 방안 등을 통해, 성수기를 놓쳐 고통 받는 관광 · 여가업계에 힘을 실어준다.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도 가을휴가를 독려하고, 온누리 상품권 구매를 확대할 예정이다.
자산을 부동산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 소비여력이 부족한 노년층의 소비를 돕기 위해 주택연금의 가입요건을 완화하고 세제 지원을 연장하는 방안 역시 포함되어 있다.
정부는 민간 소득은 늘어났기 때문에 억눌린 소비심리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전년동기비 실질소득은 1분기 6.2%, 2분기 6.7%로 나타났다. 기재부 관계자는 “현재 소비침체도 계기만 주어진다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