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 윤여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3일 "동해 포하아 앞바다에 최대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와 시추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실에서 취임 후 첫 국정브리핑을 열고 "유수 연국기관과 전문가 검증도 거쳤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국민 여러분께 이 삿ㄹ을 보고드리고자 한다"면서 이번 발견과 관련해서는 "이는 90년대 후반에 발견된 동해 가스정의 300배가 넘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전체가 천연가스는 최대 29년, 석유는 최대 4년을 넘게 쓸 수 있는 양이라고 판단된다"며 "심해 광구로는 금세기 최대 개발사업으로 평가받는 남미 가이아나 광구의 110억 배럴보다도 더 많은 탐사량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석유 가스전 개발은 물리탐사, 탐사시추, 상업 개발 등 세 단계로 진행된다"면서 "지금부터는 실제 석유와 가스가 존재하는지, 실제 매장량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탐사 시추 단계로 넘어갈 차례라"고 덧붙였다.
이어 "최소 다섯 개의 시추공을 뚫어야 하는데 한 개당 1000억 원이 넘는 비용이 들어간다"며 "세계 최고의 에너지 개발 기업들도 벌써부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에 저는 오늘 산업통상자원부의 동해 심해 석유 가스전에 대한 탐사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며 "사전 준비 작업을 거쳐 올해 말에 첫 번째 시추공 작업에 들어가면,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느정도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국민 여러분께서는 차분하게 시추 결과를 지켜봐 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브리핑에 이어 안덕근 산업자원부 장관은 "추정하기론 4분의 1 정도가 석유, 4분의 3정도는 가스"라며 "향후 이런 부분들은 탐사 시추를 통해서 상세하고 정확한 규모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매장량에 따른 경제적 가치에 대해 "매장된 양을 확인해봐야 알겠지만 과다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서 좀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최대 매장 가능성은 140억 배럴 얘기하고 있는데 140억 배럴을 현재 가치로 따져보면 삼성전자 총 시총의 다섯 배 정도"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