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 장현순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국내 물가와 금리안정 등을 고려해 4연속 동결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 확재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요인이 여전하다며, 향후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앞선 부동산 시장 침체때 보다 골이 더 깊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갖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연3.50%)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금통위는 지난해부터 올해 1월까지 기준금리를 입곱 차례 연속으로 인상했다. 하지만 올해 2월부터 기준금리를 3회 연속 동결에 이어 이번에 또 동결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지난 5월에 이어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현재 3.50%로 다시 동결 할 것으로 예측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채권전문가 100명 중 93명이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은은 지난 5월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1.6%에서 1.4%로 0.2%포인트 낮췄다. 이에 정부도 지난 4일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한은과 동일한 1.4%로 수정했다.
금통위의 생각은 앞서 5월에 경상수지가 19억3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서고 상품 수지는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경기를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것 같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 포인트 금리를 올릴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지만 한은이 한미 금리 차에 기계적으로 반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해 온 만큼 영향이 크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한미 금리차 확대에 대한 우려석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만약 연준이 7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경우 한미 금리차이는 2%포인트까지 벌어지면서 23년 만에 사상 최대 수준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한편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면 외국인 투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원·달러 환율이 급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