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0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7% 감소하면서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이같은 감소세는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이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대한 불만으로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소재 등에 대한 경제보복을 단행한 여파 등으로 반도체 수출은 30% 이상 급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월 통관 기준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7% 줄어든 467억 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이처럼 수출이 감소한 것은 6월 이후 5개월째 두자릿 수 감소율이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수출은 ‘저유가 쇼크’가 있었던 2015년 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19개월 연속 줄어든 이후 가장 긴 기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산업부는 미·중 무역분쟁과 세계 경제 둔화, 노딜 브렉시트에 따른 불확실성 등의 악재가 이어지면서 주요국으로의 수출이 모두 줄었다고 분석했다. 또 일본이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반도체의 하락 폭이 컸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2.1%가 감소했다. 이어 석유제품(-26.2%) 석유화학(-22.6%),등이 부진했다. 반면 선박(25.7%)과 화장품(9.2%), 바이오헬스(7.8%), 컴퓨터(7.7%), 농수산식품(3.0%) 등 이른바 ‘신(新)수출 성장 품목’은 호조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감소폭은 미·중 무역전쟁 탓에 중국(-16.9%)과 미국(-8.4%)에 대한 수출이 동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CIS(24.1%)과 베트남(0.6%)등 신흥시장에 대해서는 상승했다.
산업부는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했지만 지난달 일본에 대한 수출은 13.8% 줄어 들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달 수출이 큰 폭으로 떨어졌지만 바닥을 찍은 만큼 다음달부터는 상승 기류를 탈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수출 감소에도 하루 평균 수출액이 2개월 연속 20억 달러대를 유지한 데다 수입 감소에 따른 무역수지도 2개월 연속 5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반등 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