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올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금액이 4,000억원으로 역대 최고 금액을 경신한 금액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이 보험사가 계속 증가 하면서 "올해 상반기 기준 보험사기 적발액은 2016년 3,480억원에서 2017년 3,703억원, 올해 4,000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보험사기 적발 인원은 총 3만8,687명으로 지난해 보다는 5,454명(12.4%) 줄었으나 반면에 1인당 평균 사기 금액은 1,034만원으로 190만원 늘었다.
또 보험 유형별로는 손해보험이 보험사기 90.5%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대한 금액은 3,622억원으로 집계됐다. 생명보험의 경우 9.5%였으며, 허위·과다 입원 및 사고내용 조작 등이 전체의 71.3%(2,851억원)로 조사 됐다.
보험금 청구과정에서 정비공장 과장청구 등 자동차보험 피해과장 유형(302억원)은 지난해보다 31.3% 증가했다. 이 뿐만 아니라 자살·방화·고의충돌 등 고의사고를 유발하는 형태도 27.9%나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70.7%였으며 여성이 29.3%로 나타나 지난해와 비슷한 수치였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16.2%로 지난해보다 1.4%포인트 증가했고 30∼50대 연령층 비중은 67.1%로 나타났다. 40대 이하는 자동차 보험사기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5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질병이나 병원 관련 보험사기가 많았다.
한편 직업별로는 회사원이 19.6%로 가장 많았다. 전업주부(9.7%), 무직·일용직(9.1%)이 그 뒤를 이었다. 병원 및 정비업소 종사자 중 보험사기에 적발된 사람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병원 종사자는 2016년 상반기 555명에서 올해 상반기 578명으로, 정비업소 종사자는 같은 기간 442명에서 706명으로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음주·무면허 운전(65.9%)△운전자 바꿔치기(12.4%) 등 자동차보험 관련 사건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와 관련해 생명보험·손해보험협회와 보험회사는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에 기여한 제보 3,925건에 대해 지난해 상반기보다 5.0% 증가한 13억1,0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금감원은 보험사기 근절을 위해 "수사기관 및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보험사기 범죄가 근절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또 일상생활 또는 의료기관에서 보험사기로 의심되는 상황이 목격하면 주저 없이 금감원이나 보험회사로 신고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