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2조 6천억 투입...2022년까지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

  • 등록 2018.06.25 02:21:32
크게보기

수소차와 수소충전소,수소에너지 차 등 3800개 일자리 창출 기대

수소차 선점을 위해 정부와 기업들이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에 깃발을 올렸다.

 

정부는 기업들과 함께 글로벌 수소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한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에 5년간에 거쳐 2조6천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수소차 관련 업계와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혁신 2020 플랫폼' 2차 회의를 열었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민관이 전략적 협업을 통해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수소에너지 등 수소차 산업생태계를 조기에 구축하기로 협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백 장관, 현대차 권문식 부회장,MS오토텍 이태규 사장, 일진복합소재 김기현 대표, 효성중공업 현철 기전PU장, 에어리퀴드코리아 박일용 사장,SK가스 이재훈 사장, 가스안전공사 김형근 사장 등이 참석했다.

먼저 정부와 업계는 올해 1천900억원, 내년 4천200억원 등 2022년까지 총 2조6천억원을 수소차 생산공장 증설, 수소버스 제작, 버스용 수소저장용기 개발, 스택공장 증설 등에 투자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이 같은 투자를 통해 올해 400개, 내년 480개 등 2022년까지 총 3천800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했다.산업부는 수소버스 보조금 신설과 운송사업용 수소버스 취득세 50% 감면 등 정부 지원을 강화한다.

백운규 장관은 "정부는 현재 2022년까지 1만6천대의 수소차 보급을 목표로 수소차에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런 수소차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2022년까지 총 4천5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산업부는 2022년까지 백금촉매 저감 및 대체촉매 기술 개발과 스택 부품 완전 국산화 등 주요 부품소재 연구개발(R&D)에 1천25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와 협업으로 올해 서울, 울산 등 2019년까지 전국 5개 도시 시내버스 정규노선에 수소버스를 투입한다.일단 올해 서울과 울산에 각 1대를 투입하고 내년에는 실증사업용으로 개발한 수십대를 5개 도시에 배정할 예정이다.

이후 수소버스를 고속버스로 확대 적용해 2022년까지 총 1천 대의 수소버스를 보급할 계획이다.수소충전 인프라는 지금처럼 지자체와 연구기관 중심의 방식으로는 조기 구축이 어렵다는 업계 의견을 반영해 오는 11월 출범 예정인 수소충전소 특수목적법인(SPC)을 지원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충전소 구축비용을 30% 이상 줄이도록 수소충전소 국산화율 제고(40%→80%), 수소승용차와 버스 겸용 충전소 개발, 이동형 수소충전소 개발 등을 추진한다.이동식 수소충전소 설치, 개발제한구역·연구개발특구 내 수소충전소 설치, 융복합충전소 설치 등을 위한 규제 개선도 내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정부와 업계는 2022년까지 수소에너지를 경유나 액화석유가스(LPG)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공급 유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현재 수송용 연료 가격은 ㎞당 휘발유 155원, 경유 92원,LPG83원인데 수소차 연료를 70원대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내년에 수소유통센터를 설립하고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P2G 시스템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 관련 내용을 반영해 수소경제 관련 법 제도 기반을 확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장현순 기자 hyunsoon1130@naver.com
Copyright @시사1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