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1 노은정 기자 |민생지원금 카드를 사용하려다 정책 지원금이 아닌 개인 계좌에서 결제 금액이 빠져나가는 사례가 발생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같은 매장에서 결제했음에도 어떤 손님은 민생지원금이 정상 적용되고, 다른 사람은 본인 돈이 빠지는 사례가 나타나면서 정책카드 인식 시스템에 대한 혼선이 지적되고 있다.
부산의 한 시민 A씨는 최근 지역 내 의류매장에서 민생지원금 카드를 사용하려 했다. 결제 전 매장 직원에게 "민생카드 사용이 가능한가요?" 라고 묻자 "가능하다" 는 답변을 듣고 옷을 구매했다. 그러나 매장을 나온 직후, A씨는 수신한 결제 문자 메시지를 통해 본인 계좌에서 금액이 인출된 사실을 확인하고 당황했다.
A씨는 "지원금 카드로 결제한 줄 알고 나왔는데, 나중에 보니 내 돈이 빠져나갔더라"며 같은 매장에서 어떤 손님은 민생지원금이 잘 적용됐다던데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 모르겠다" 고 말했다.
이에 대해 매장 측은 "카드마다 다르게 인식될 때가 있는 것 같다"며 어떤 손님은 지원금으로 잘 결제되고, 어떤 분은 이런 식으로 문의하신다" 고 설명했다.
이어 "원하시면 환불은 가능하다"고 안내했지만, A씨는 "다시 방문해 처리받는 게 번거로워 그냥 돌아섰다"고 전했다.
이처럼 같은 매장에서 동일한 카드 유형을 사용하더라도 결제 방식이나 단말기 인식 상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구조적 허점이 존재한다. 특히 민생지원금 카드가 매장 단말기에서 정책카드로 정확한 인식되지 않을 경우, 일반 카드처럼 처리돼 개인 계좌에서 금액이 빠지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결제 당시 소비자가 이를 즉시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대부분은 결제 직후 수신되는 문자 알림을 통해 뒤늦게 인지하게 되며, 이미 금액이 출금된 이후여서 환불을 요청하거나 민원을 제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민생지원금은 반드시 매장 내 POS 단말기를 통해 직접 결제해야만 정책금에서 차감된다. 키오스크, 테이블오더, 일부 배달앱 등 PG (결제대행사) 방식으로 결제될 경우 카드가 일반 결제로 인식되거나 사용이 제한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취지와는 달리 시스템 인식 오류로 인해 소비자 피해가 반복되는 가운데, 정확한 안내 기준 마련과 시스템 안정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