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포스트 메뉴

사라진 남극 빙하 30%는 덜 내린 눈 때문

 

극지연구소는 24일 “최근 약 10여 년간 감소한 남극 빙하 양의 30%는 강설량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남극 빙하량 감소가 전적으로 해양 온난화 때문이라고 알려졌다. 바다 온도가 높아져 빙하의 이동이 빨라지고, 바다로 유출되는 빙하 양도 증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덜 내린 눈이 새로운 원인으로 제시됐다.

 

남극 빙하 양의 변동은 크게, 눈이 내려 쌓이는 양과 빙하가 바다로 빠져나가는 양에 의해 결정된다. 눈이 많이 내리거나 빙하의 이동이 멈추면 남극 얼음은 점점 두꺼워지지만, 내리는 눈의 양이 줄거나 빙하 이동이 빨라지면 남극 얼음은 점차 얇아진다.

 

극지연구소와 서울대학교, 미국 텍사스 대학 등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중력관측위성 GRACE에서 받은 자료와 남극 대기 관측 결과를 종합하여 무엇이 남극 빙하의 양을 변화시키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남극빙하는 지난 25년 (1992~2017)간 매년 평균 1,100억 톤이 사라졌으며, 같은 기간 지구의 해수면은 약 7.6mm 올랐다. 사라지는 속도는 최근 들어 가파르게 상승했는데, 2007년 이후 남극빙하의 연평균 감소량은 1,940억 톤으로 그 이전 470억 톤보다 4배 이상 빨랐다.

 

2007년을 기점으로 남극 빙하의 손실량이 연평균 1470억톤 늘어난 것인데, 연구팀은 이 가운데 약 400억 톤은 새로 쌓이는 눈의 양이 줄어서 발생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강설량 감소의 원인으로 남극 진동(Antarctic Oscillation)이 강해진 점을 꼽았다. 남극 진동이 중위도에서 날아오는 수분의 유입을 막아서 눈이 충분히 생성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남극 진동은 남극을 둘러싸는 기압대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바람의 세기나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는 2019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연구과제 ‘서남극 스웨이트 빙하 돌발붕괴의 기작규명 및 해수면 상승 영향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이어 국제 저명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지(제1저자 김병훈 극지연구소 연구원)에 게재됐다.

(시사1 = 유벼리 기자)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