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청렴윤리경영 컴플라이언스 특별 강연"

  • 등록 2022.06.20 11:09:37
크게보기

ESG 총 61개 진단항목으로 구성

 

(시사1 = 조성준 기자)국민권익위원회는 전현희 위원장이 18일 ‘ESG(환경·사회·거버넌스) 및 미 해외부패방지법 등 글로벌 반부패 규범 대응을 위한 청렴윤리경영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특별 강연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지방변호사회 제6차 의무연수에서 변호사 900여 명을 대상으로 특별 강연을 했다"고 이같이 전했다. 

 

이날 강연에서 "전 위원장이 거론한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의 목적은 비재무적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여 지속가능경영을 실천하고 책임투자시장에 대한 이해 관계자들의 자본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기업의 지속가능성 개선을 유도하고 이해관계자에게 판단 정보를 제공 평가 결과 도출된 등급은 한국거래소의 KRX 사회책임투자지수 종목을 구성하는데 활용 된다"고 했다.

 

 ESG 평가 항목을 살펴 보면 "국제 표준 가이드에 의해 정보공시 5개, 환경에 17개, 사회 22개, 지배구조 17개 문항으로 총 61개의 진단항목으로 구성 되어 있으나, 이런 필수적인 경영전략을 구사 할수 있는  ESG 평가사등 전문 인력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KSR 인증원 인재개발원(ISO경영시스템 전문기관) 송시헌 본부장에 따르면 "기업 경영에 따른 기업 가치 제고에  국내 CEO10명중 7명이 ESG 경영에 높은 관심을 가질 정도로 사회적 환경이 급변함에도  이에 따른 국제기준에 의한 교육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기업 및 일반 기업에서 단체교육을 실시, 국제적으로 뇌물·부패·지배구조 등의 지수에서는 뒤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말했다.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2021년도 국가청렴도(CPI)에서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62점, 180개국 중 32위로 5년 연속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국가청렴도 중 경영 부문 관련 지표는 5년간 IHS Markit이 조사한 ‘경영활동 관련 부패’는 59점, EIU가 조사한 ‘공적자금 유용‧계약 등 뇌물 관행’은 55점을 유지하는 상태로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최근 기업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국제신용평가기관인 스탠다드앤푸어스(S&P)의 평가 결과, 한국 기업들이 환경·사회 지수에서는 글로벌 기업을 앞선 반면, 뇌물·부패·지배구조 등의 지수에서는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한 상태다.

 

전 위원장은 최근 강조되고 있는 ESG 경영의 국제기준과 이 중 G(Governance)의 핵심 요소로서 반부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기업의 ESG와 미국 해외부패방지법(FCPA) 등 국제 반부패 규범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국민권익위가 추진하고 있는  K-CP(경영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부패위험을 최소화하고, 부패방지 법령을 준수하는 등 청렴윤리경영 문화를 조성하는 일련의 시스템 및 활동)을 소개 했다.

 

전 위원장은 ‘부패방지권익위법’ 제5조(기업의 의무), 같은 법 시행령 제3조(기업 윤리경영 지원 등)에 따라 기업의 청렴윤리경영 지원 활동을 다양하게 펼쳐왔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 해외부패방지법 위반 사례가 우리나라 기업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적극적인 반부패 노력을 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위원장은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고 해외 진출 기업이 많아지는 만큼 기업의 투명성은 선택 아닌 필수가 됐다"고 말했다.

 

또 K-CP를 이번 달 말 공공기관에 우선 도입하고 16일 법조계·경제단체 전문가 정책간담회에 나온 의견을 토대로 올해 말까지 기업용 K-CP를 개발하겠다"며 "기업의 자율적인 청렴윤리경영 실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 위원장은 법조계에서도 국제사회의 반부패 기조와 해외 부패방지법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고 기업의 청렴윤리경영 실천을 적극 지원해 주기를 당부했다.

 

조성준 ds1aca@naver.com
<저작권자 © 시사1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145길 5-11 주영빌딩 6층 | 대표전화 : 02)3667-2533 | 팩스 : 02)511-1142 등록번호 : 서울,아02660 | 등록년월일 : 2013.05.21 | 발행인/편집인 : 윤여진 Copyright © 2020 (주)시사1. All rights reserved. Email : 016yj@naver.com